Cache(캐시)
이해하기
Cache(캐시)는 데이터 결과를 미리 저장해두고 요청이 들어오면 원본 데이터가 아닌
미리 저장해 놓은 데이터 결과를 보여주는 기법을 말합니다.
캐시를 사용해서 데이터를 저장해 놓고 이후에 데이터 요청이 있을 경우
원본 데이터를 불러오는 것보다 미리 저장해 놓은 데이터를 불러와 성능적으로 더 빠르게
결과를 출력합니다.
캐시는 결과가 바뀌지 않는 매번 동일한 결과를 출력하는 곳에 사용할 경우에 효율이 올라가며
반대로 매번 다른 결과가 출력되거나, 값이 빈번하게 수정되는 경우엔 오히려
성능적으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Local Cache | Global Cache |
---|---|
서버 내부에 캐시를 저장한다. | 여러 서버에서 캐시 서버에 접근하여 참조 할 수 있다. |
다른 서버의 캐시를 참조하기 어렵다. | 별도의 캐시 서버를 이용하기 때문에 서버 간 데이터 공유가 쉽다. |
서버 내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속도가 빠르다. | 네트워크 트래픽을 사용해야 해서 로컬 캐시보다는 느리다. |
로컬 서버 장비의 Resource를 이용한다. (Memory, Disk) |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 할 수 있다. |
Local Cache (로컬 캐시)
스프링 부트 환경
에서 설정합니다.
의존성 모듈 설정
// build.gradle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cache'
@EnableCacheing 어노테이션 설정
@EnableCacheing
동작에 필요한 기본적인 설정들을 등록합니다.
// /src/main/java/com/jjamong/cache/CacheApplication.java
package com.jjamong.cache;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ache.annotation.EnableCaching;
@EnableCaching
@SpringBootApplication
public class CacheApplica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pringApplication.run(CacheApplication.class, args);
}
}
DB 설정 및 셋팅
mybatis 설정 에서 mybatis에 select까지 해서 api로 출력하는 것까지 참고한 후에,
컨트롤, 서비스에 각 로그를 아래와 같이 나오도록 추가합니다.
>>> IndexController
>>> IndexService
2022-04-26 14:55:19.505 INFO 9468 --- [nio-8080-exec-1]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2 - Starting...
2022-04-26 14:55:19.506 WARN 9468 --- [nio-8080-exec-1] com.zaxxer.hikari.util.DriverDataSource : Registered driver with driverClassName=com.mysql.jdbc.Driver was not found, trying direct instantiation.
2022-04-26 14:55:19.513 INFO 9468 --- [nio-8080-exec-1] com.zaxxer.hikari.HikariDataSource : HikariPool-12 - Start completed.
>>> IndexService res[{Database=information_schema}, {Database=mysql}, {Database=performance_schema}, {Database=phpmyadmin}, {Database=test}]
>>> IndexController list[{Database=information_schema}, {Database=mysql}, {Database=performance_schema}, {Database=phpmyadmin}, {Database=test}]
@Cacheable 어노테이션 추가
아래와 같이 어노테이션 추가 후 api를 실행하면 로그가 올라오지 않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Cacheable("/")
@GetMapping("/")
public ResponseEntity index() {
System.out.println(">>> IndexController");
List<HashMap<String, Object>> list = indexService.gets();
System.out.println(">>> IndexController list" + list);
return new ResponseEntity(list, HttpStatus.OK);
}
@Cacheable
@Cacheable은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캐시관련 어노테이션으로 aop방식으로 동작합니다. Key값의 지정에는 SpEL이 사용됩니다.
@Cacheable(key = "index" , value = "jjamong_cache")
public ResponseEntity index() {return new ResponseEntity(HttpStatus.OK);}
@Cacheable(key = "T(com.jjamong.cacheutil).createKey(#root.targetClass, #root.methodName, #root.args)" , value = "jjamong_cache")
public ResponseEntity index() {return new ResponseEntity(HttpStatus.OK);}
Global Cache (글로벌 캐시)
Multi Server 환경에서 Session, Cache 데이터를 Server 마다 나누어 관리하게 되면
참조하는데 어려움이 많습니다.
그래서, 외부 서버에서 따로 관리하고 각 서버들이 참조하는 식으로 구성합니다.
Redis (REmote DIctionary System / 레디스)
Redis는 In-Memory 기반의 키-값 형식의 비정형 데이터 구조를 가졌습니다.
고성능 key-value 저장소로서 List, Hash, Set, Sorted Set 등 여러 형식의 자료구조를 지원하며
메모리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디스크보다 훨씬 빠릅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RDBMS의 캐시 및 세션 솔루션으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